디지털자산 커뮤니티 앤츠코인넷

코인니스

  • 6분 전

    바이낸스 “EU 미카법 발효 전까지 스테이블코인 상폐 막는 데 힘쓸 것”

    바이낸스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“오늘 우리는 내년 6월 발효되는 유럽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(MiCA)에 대한 유럽은행감독청(EBA) 협의에 참여했다. 이 자리에서 스테이블코인 운영자에게 EMI(전자화폐기관) 라이선스 신청을 위한 유예기간이 있는지 논의됐다. 미카에 따르면 모든 EU 거래소는 EMI 라이선스 미보유 스테이블코인을 상장폐지해야 한다. 현재로선 어떤 거래소도 이를 준수하지 않고 있다. 미카 발효 전 해결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확신하지만, 그렇지 않을 경우 유럽 암호화폐 거래소는 타격을 입을 수 있다. 우리는 규제 당국과 협력을 지속할 것”이라고 전했다. 앞서 바이낸스 프랑스 법률책임자 마리나 파르투소는 “유럽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(MiCA)가 발효되는 내년 6월까지 유럽 내 모든 스테이블코인을 상장폐지할 수도 있다”고 언급했으며,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이에 대해 유럽 내 스테이블코인 발행 파트너가 있다고 밝혔다.

  • 11분 전

    시바이누, 언론 보도비용 지출설 부인

   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시바이누 마케팅 담당 루시가 여러 미디어에 정기적으로 보도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는 일각의 주장을 부인했다. 그는 "시바이누에 관한 가장 멍청하고 어리석은 소문"이라고 일축했다.

  • 15분 전

    윈터뮤트, 1시간 전 730만 BLUR 거래소 입금

    룩온체인은 "마켓메이커 윈터뮤트가 1시간 전 730만 BLUR($130만)를 크라켄과 코인베이스로 입금했다. 윈터뮤트는 지난 30일 동안 총 4660만 BLUR($833만)를 거래소로 입금했다"고 전했다.

  • 28분 전

    리플 CEO "소송비 2억달러 지출"...예상액의 2배

   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CEO가 포춘크립토 인터뷰에서 SEC(증권거래위원회) 재판 등으로 리플 소송비용이 2억달러로 늘어났다고 밝혔다. 2022년 7월만 해도 그는 소송비로 1억달러를 지출할 것이라고 예상했었다.

  • 35분 전

    니어 재단 CEO 사임

    니어(NEAR) 재단 최고경영자(CEO) 마리에케 플라멘트(Marieke Flament)가 사임한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. 니어 재단 법무 자문위원 크리스 도노반(Chris Donovan)이 차기 CEO가 된다. 플라멘트는 올 연말까지 도노반의 전략 고문 역할을 하며 재단 이사로서 계속 활동할 예정이다.

  • 38분 전

    체인링크 CCIP, 아비트럼원 론칭

   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체인링크 CCIP가 이더리움 레이어2 아비트럼원에서 출시됐다. CCIP는 크로스체인 기반 통신의 오픈소스 표준을 구축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토콜로, 수백개의 퍼블릭 및 프라이빗 체인 네트워크를 이어주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한다.

  • 41분 전

    P2P 해시레이트 마켓 루메린, 아비트럼원서 출시

    암호화폐 채굴자를 위한 P2P 해시레이트 마켓 플레이스 루메린 프로토콜(Lumerin Protocol)이 아비트럼원에서 출시된다고 더블록이 전했다. 루메린 프로토콜은 채굴자가 해시레이트를 사거나 팔고, 배포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.

  • 46분 전

    업비트, 빗썸, 코인원 LINA 투자유의 안내...LUSD 취약점 공격

    업비트, 빗썸, 코인원이 리니어파이낸스(LINA)의 스테이블 코인인 LUSD에 대한 취약점 공격이 발생했다며 LINA 투자유의 공지를 냈다. 앞서 코인니스는 LUSD가 익스플로잇에 노출됐다고 전한 바 있다.

  • 1시간 전

    유니스왑, 유동성 공급자 대상 교육 플랫폼 출범

    유니스왑이 유동성 공급자 대상 교육 플랫폼 유니스왑 유니버시티를 출범했다고 X(구 트위터)를 통해 밝혔다. 해당 플랫폼은 유니스왑에 대한 기본 설명부터 유동성 공급 시뮬레이션 등을 제공한다.

  • 1시간 전

    미 증시 3대 지수 하락 출발

    미 증시 3대지수가 하락 출발했다. S&P500: -0.67% 나스닥: -1.05% 다우: -0.33%